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블 엔터테인먼트

덤프버전 :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마블 엔터테인먼트
Marvel Entertainment, LLC
파일:마블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이전 명칭마블 엔터프라이즈
형태자회사
업종엔터테인먼트
전신토이 비즈
설립1998년 6월 2일 (26주년)
해산2023년 3월 29일[1]
본사뉴욕주 뉴욕시
주요 인물케빈 파이기 (CCO)
조 케사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모기업월트 디즈니 컴퍼니
자회사마블 코믹스
사업 내용라이센스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 파일:스냅챗 로고.svg |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 파일:미디엄 아이콘.svg[[파일:미디엄 아이콘 화이트.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자회사
4. 역대 경영진
4.1. 명예 회장
4.2. 회장
4.3. CEO
4.4. 사장
4.5. 기타
5. 작품 일람
5.1. TV 시리즈
5.2. 영화
5.2.1. 관련 문서
5.3. 게임
6. 기타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기존의 마블 그룹이 재정난으로 인해 1996년에 공식적으로 파산을 신청한 이후, 아이작 펄머터아비 아라드의 주도로[2] 마블의 캐릭터 장난감을 판매하던 제휴사 토이 비즈와의 합병을 통해 1998년 6월 뉴욕에 새롭게 설립된 미국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마블 코믹스, 마블 애니메이션, 마블 텔레비전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9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40억 달러에 인수되면서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이후 산하 부서였던 마블 스튜디오는 조직 개편으로 인해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2. 역사[편집]


지식재산권계의 작은 디즈니

ㅡ 로널드 페럴만[3]

만화책 회사 '마블'이 화려하게 부활한 비결은?

2005년 9월 당시 마블 엔터프라이즈의 CEO인 아비 아라드는 직접 영화를 제작하여 수익을 더 얻기를 원했다. 그리하여 아이언맨을 시작으로 총 10개의 영화를 2008년부터 연 2편씩 상영할 계획을 세웠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제작을 위해 예산을 대출하면서 회사 규모를 늘렸고 이름도 지금의 마블 엔터테인먼트로 변경했다.

2009년 8월 31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마블 엔터테인먼트를 42억 4,000만 달러에 인수했고 마블의 주주들은 자신이 소유한 마블의 주식 1주당 30달러와 약 0.745 디즈니 주식을 받았다.[4]

2015년 8월, 마블 스튜디오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케빈 파이기는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아이작 펄머터 대신 앨런 혼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다.

2018년 5월 호주에서 가장 유명한 경기장 중 하나인 도클랜즈 스타디움의 8년간 명명권을 구입했고 2018년 9월 1일부터 마블 스타디움으로 불리고 있다.[5]


3. 자회사[편집]




4. 역대 경영진[편집]




4.1. 명예 회장[편집]




4.2. 회장[편집]


  • 로널드 페럴만 (1989년 1월~1996년 10월)
  • 스캇 사사 (1996년 10월~1997년)
  • 모튼 E. 헨델 (1998년~2009년)
  • 아이작 펄머터 (2017년 1월~2023년 3월 29일)


4.3. CEO[편집]


  • 윌리엄 베빈스 (1991년~1996년 10월)
  • 스캇 사사 (1996년 10월~1997년)[6]
  • 조셉 에이언 (1998년 10월~1998년 11월 24일)
  • 에릭 엘렌보겐 (1998년 11월 24일~?)
  • F. 피터 쿠니오 (1999년 7월~2002년 12월 31일)
  • 알렌 립슨 (2003년 1월 1일~2005년 1월 1일)
  • 아이작 펄머터 (2005년 1월 1일~2016년 12월)[7]
  • 부사장
    • 앨런 파인 (2009년 4월~2023년 3월 29일)
    • 존 투릿친 (2006년 9월~2023년 3월 29일)
    • 데이빗 메이젤 (2006년 9월~2009년 12월 31일)


4.4. 사장[편집]


  • 스탠 리 (1972년~1973년)
  • 알 란다우 (1973년~1975년)
  • 짐 갈턴 (1975년~1991년)
  • 테리 스튜어트 (1992년~1993년)
  • 릭 엉거 (?~1993년 11월)
  • 아비 아라드 (1993년 11월~?)
  • 브루스 스테인 (?~1994년 11월)
  • 윌리엄 베빈스 주니어 (1994년 11월~?)
  • 테리 스튜어트 (1995년 5월)
  • 제리 칼라브레제 (1995년 5월~1996년) & (1998년 10월~1998년 11월)
  • 스캇 C. 마던 (대행) (1996년~1996년 9월)
  • 데이빗 슈레프 (1996년 9월)
  • 요셉 칼라마리 (?~1998년 10월)
  • 에릭 엘렌보겐 (1998년 11월~1999년 7월)
  • F. 피터 쿠니오 (1999년 7월~2003년 1월 1일)
  • 알렌 립슨 (2003년 1월 1일~2005년 1월 1일)
  • 앨런 파인 (2009년~2023년 3월 29일)[8]
  • 댄 버클리 (2017년 1월~2023년 3월 29일)


4.5. 기타[편집]


  • 빌 제마스 - 출판 및 소비재 부문 사장 (2000년 2월~2010년 10월)
  • 브루노 말리오네 - 마블 인터네셔널 대표 (2003년 11월)
  • 조 케사다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2010년~)
  • 케빈 파이기 - CCO (2019년~)
  • 빌 제마스
    • COO (2010년 1월~2010년 10월)
    • CMO (2010년 10월~2013년 11월)
  • 가이 카리요 -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 겸 CIO (2010년 10월)


5. 작품 일람[편집]



5.1. TV 시리즈[편집]


방영제목원제제작배급
1996제네레이션 XGeneration XMT2 서비스
마블 필름스
뉴 월드 텔레비젼 프로덕션
폭스 필름
뉴 월드 엔터테인먼트
2001 ~ 2004뮤턴트 XMutant X파이어워크 엔터테인먼트
트리뷴 엔터테인먼트
마블 스튜디오
마블 엔터프라이즈
캔웨스트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즈
2006블레이드: 더 시리즈Blade: The Series팬텀 4
뉴 라인 텔레비전
마블 엔터테인먼트
-실크 스파이더 소사이어티Silk: Spider Society소니 픽처스 텔레비전
파스칼 픽처스
마블 엔터테인먼트


5.2. 영화[편집]


연도제목원제감독제작 / 배급
1990캡틴 아메리카Captain America앨버트 피언21세기 필름스
1994판타스틱 4The Fantastic Four울리 새손콘스탄틴 필름
1998블레이드Blade스티븐 노링턴뉴 라인 시네마
2000엑스맨X-men브라이언 싱어20세기 폭스
2002블레이드 2Blade II기예르모 델 토로뉴 라인 시네마
스파이더맨Spider-Man샘 레이미콜롬비아 픽처스
2003데어데블Daredevil마크 스티븐 존슨20세기 폭스
엑스맨 2X-2브라이언 싱어
헐크Hulk이안유니버설 픽처스
2004퍼니셔The Punisher조너선 헨즐리라이언스게이트
스파이더맨 2Spider-Man 2샘 레이미콜롬비아 픽처스
블레이드: 트리니티Blade: Trinity데이비드 S. 고이어뉴 라인 시네마
2005엘렉트라Elektra롭 보우먼20세기 폭스
맨씽Man-Thing브렛 레너드라이언스게이트
판타스틱 포Fantastic Four팀 스토리20세기 폭스
2006엑스맨: 최후의 전쟁X-Men: The Last Stand브렛 래트너
2007고스트 라이더Ghost Rider마크 스티븐 존슨콜롬비아 픽처스
스파이더맨 3Spider-Man 3샘 레이미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Fantastic Four: Rise of the Silver Surfer팀 스토리20세기 폭스
2008퍼니셔: 워 존Punisher: War Zone렉시 알렉산더라이언스게이트
2009엑스맨 탄생: 울버린X-Men Origins: Wolverine개빈 후드20세기 폭스
2011엑스맨: 퍼스트 클래스X-Men: First Class매튜 본
2012고스트 라이더: 복수의 화신Ghost Rider: Spirit of Vengeance브라이언 테일러
마크 네빌딘
콜롬비아 픽처스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마크 웨브
2013더 울버린The Wolverine제임스 맨골드20세기 폭스
2014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X-MEN: Days of Future Past브라이언 싱어
2015판타스틱 포Fantastic Four조시 트랭크
2016데드풀Deadpool팀 밀러
엑스맨: 아포칼립스X-Men: Apocalypse브라이언 싱어
2017로건Logan제임스 맨골드
2018데드풀 2Deadpool 2데이빗 레이치
베놈Venom루벤 플레셔콜롬비아 픽처스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피터 램지
밥 퍼시케티
로드니 로스맨
2019엑스맨: 다크 피닉스X-Men: Dark Phoenix사이먼 킨버그20세기 폭스
2020뉴 뮤턴트The New Mutants조시 분
2021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Venom: Let There be Carnage"앤디 서키스콜롬비아 픽처스
2022모비우스Morbius다니엘 에스피노사
2023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Spider-Man: Across the Spider-Verse호아킴 도스 산토스
켐프 파워스[9]
저스틴 K. 톰슨
2024마답 웹Madame Web
베놈 3Venom 3-
크레이븐 더 헌터Kraven the HunterJ.C. 챈더
미정블랙 캣Black Cat지나 프린스바이더우드
나이트 워치Night watch
실버 세이블Silver Sable
엘 무에르토EL MUERTO-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Spider-Man: Beyond the Spider-Verse


5.2.1. 관련 문서[편집]




5.3. 게임[편집]




6. 기타[편집]


  • 파산한 마블과 토이 비즈가 합병하여 회사를 새로 출범시킨 직후, 스탠 리마이클 잭슨이 서로 힘을 합쳐 마블을 인수하려고 시도했던 적이 있다. 그러나 마블의 소유주인 아이작 펄머터가 최소 10억 달러 이상의 금액을 요구했던 터라 결국 인수 협상이 무산되었다고 한다. #

  • 포브스는 2021년 기준으로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기업가치를 약 530억 달러 수준으로 책정하였다. 디즈니에 인수된 2009년 당시의 가격이 약 40억 달러 수준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가치가 10배 이상으로 뛴 셈. #

  • 마블 엔터테인먼트를 디즈니 사업부로 흡수하고 아이작 펄머터는 회장에서 해임됐다. #


7.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1:45:14에 나무위키 마블 엔터테인먼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월트 디즈니 컴퍼니와 합병[2] 칼 아이칸도 마블을 인수하려고 시도했으나 법원으로부터 거절당했다. #[3] 1989년에 8250만 달러를 들여 마블을 인수했었던 기업인. 발언에서 알 수 있다시피 디즈니의 머천다이징 전략을 본떠 마블의 IP를 이용해 장난감, 트레이딩 카드 게임 등 사업을 무차별적으로 확장하다가 회사를 파산의 지경에 이르게 만들었다. 참고로 페럴만의 관리하에서 마블이 사들인 기업들 중에 아비 아라드아이작 펄머터가 소유한 토이 비즈도 속해 있었다. #[4] 당시 마블에 대한 디즈니의 지나친 간섭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자 스탠 리는 '디즈니화되는 건 나쁜 게 아니다. 캐리비안의 해적을 보라.'고 옹호하기도 했다. 기사[5] 마블 스타디움으로 이름이 바뀐 후 내부에는 마블의 굿즈들을 판매하는 스토어가 존재한다.[6] CEO 겸 회장.[7]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부회장직도 역임했다.[8] 사장 겸 마블 크리에이티브 위원회 의장.[9] 소울의 각본가.